- 영문명
- A Study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Fire Models for Evaluating Fire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양승조(Yang Seung Cho) 이재승(Lee Jae S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2호, 193~19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건축물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포스트-플래시오버 단계에 해당하는 화재모델을 선정해야 하며 이는 크게 표준화재모델과 파라메트릭 화재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표준 화재모델은 온도-시간의 변수를 통해 화재심각도를 예측하고, 파라메트릭 화재모델은 구획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재심각도를 예측한다. 현재 내화설계 및 평가의 대다수는 다양한 변수입력 및 계산의 복잡성으로 인해 표준 화재곡선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보수적인 화재심각도를 기반으로 화재심각도를 예측하기 때문에 과다/과소 설계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각 화재모델에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파라메트릭 화재모델의 예측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화재모델을 통해 강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평가/비교하였으며 평가 결과, 각 화재 모델에 따라 내화성능의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으로 내화성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획의 특성을 고려한 파라메트릭 화재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o evaluat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buildings, it’s necessary to determine the fire model for the post-flashover stage, which is classified into the standard fire model and parametric fire model. Currently, fire design and evaluation mostly use the standard fire curve in consideration of variable input parameters and complex calculation, which however may result in over/under-design because it predicts the fire severity based on conservative requirements. In this study, fire models are compared and analyzed which is followed by analysis of prediction formula of parametric fire model. It appears desirable to use parametric model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zone in a bid to evaluat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포스트-플래시오버 화재 모델
3. 화재모델 별 구조물의 내화성능 평가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