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ismic Performance of the Catenary System Using Fragility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예진(Park Yejin) 김민수(Kim Minseu) 한승룡(Han Seungryong) 최상현(Choi Sanghyu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2호, 39~4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국내 철도시설의 경우 교량, 역사 등 토목구조물에 대해서는 내진설계나 보강을 통한 대비가 이뤄지고 있으나, 전철전력, 신호제어, 정보통신 등 열차의 안전운행에 필요한 설비 및 시설의 내진성능 확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지반특성을 고려하여 개정될 내진설계기준과 다양한 관측지진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전력시설인 전차선로시스템의 지진취약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진하중은 다양한 지반조건에 따른 설계스펙트럼을 포괄하는 인공지진과 실측지진을 고려하였으며, 전차선 시설물의 파괴모드를 분석하여 지진취약도를 작성하였다. 전차선로시스템의 전철주 형식은 국내 부설 현황를 감안하여 H형강과 강관주를 검토하였다. 지진취약도 분석 결과 현재 부설되어 있는 전차선로시스템은 내진설계기준을 만족하며, 강관주 보다는 H형강주 사용 시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측지진 보다는 인공지진에 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o date, while seismic design and reinforcement have been applied to railroad structures including bridges and stations to minimize earthquake damage, securing the seismic resilience of such facilities as electric, signal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s is not sufficiently conducted. In this paper, the seismic fragility of the catenary system, one of the representative electric facility, is evaluated considering revising seismic design code based on domestic ground characteristics. The seismic excitation considers an artificial earthquake based on design spectra depending on various ground conditions as well as observed earthquakes, and the seismic fragility is built via analyzing failure modes of the catenary system. Considering recent construction status, two types of steel poles, H and tube sections, a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reveals that the catenary system satisfies seismic design code, while more fragile to artificial earthquake than observed earthquakes. Also, the system with a H section pole is more fragile than with a tube section pole.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국내 전차선로시스템 현황 및 해석모델
3. 지진해석과 지진취약도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