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terminants of General Health Check-up among Older Adults in Korea - A Longitudinal Analysis Using the 1st~5th Wave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Yun Kyung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4 No.1, 135~1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국문 초록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고령사회에서 노인들을 규칙적으로 건강검진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은 노인집단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주요한 정책적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당한 숫자의 노인들이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지 않고 있는 반면, 노인의 특성이 건강검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의 1~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n=1,886) 노인의 특성이 건강보험공단의 일반건강검진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확률효과 패널로짓모델 결과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가구소득, 거주 지역, 건강보험 가입형태, 일상생활 활동수행 장애,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검진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제도적으로 보장된 기본적인 건강검진에서 소외될 수 있는 노인들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roviding older adults with routine health screening is an important health care policy in many aging societies including Korea. Howeve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older adults do not participate in health screening, b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ir participation in screening is not well know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for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national health screening using the 1-5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data (n=1,886). Screening participation tends to increase across the study waves, while panel logit models indicated that screening take-up varies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household income, living area, type of health insurance, functional disability, and self-rated health. The results suggest increasing efforts of outreach for older adults who are at a greater risk of missing health screen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