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Likelihood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Risks for Efficient Risk Management - A Case of ChungCheongbuk-Province, Korea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In Chul Go Jong In Back Na Eun Hong Yong Un Ba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4 No.1, 77~8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국문 초록
산업의 발달로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한 급격한 기후변화가 세계 각처에서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리스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발생가능성 및 발생영향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리스크 목록을 작성하고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각각의 리스크에 대한 발생가능성 및 영향을 평가한 후 SPSS를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리스크 부문에서 중요하게 평가된 요인 특성을 도출하였고, 발생가능성과 발생영향간의 특성차이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예방적 측면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리스크와 대응적 측면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리스크를 구분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led to global warming worldwide, Problems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Despite the seriousness of the current climate change problem,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Therefore, we need to study risk, a key element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kelihood and impact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risks. To do this, we employed expert questionnaire survey on likelihood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risks and conducted a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that were important in the risk and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likelihood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risks. Finally, in terms of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it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climate change by classifying the risks that need to be focused on preventive aspects and the risks that need to focus on responsive aspec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