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Music and Worries Expressed by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송이(Han, Song-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4호, 745~7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래 만들기(songwriting)활동을 활용하여 그들의 고민이나 감정 상태, 학교생활과 진로 고민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 시도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대학생들이 노래 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으며, 자신들의 고민을 음악과 함께 글로도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타인과의 대화나 관계형성에도 이러한 방법은 교육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서 도출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민의 맥락은 크게 5가지 분류로 인간관계, 자존감 부족, 진로 및 취업 문제, 학업 문제, 경제적 문제로 구분하였으며 학생들은 학년에 따라서 고민의 유형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대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음악 만들기 활동을 경험하게 한 후, 자신의 고민을 되돌아보고 일반적 형태의 상담이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도 표현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이런 새로운 방법으로 자신의 고민이나 심정의 변화를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누구나 개인적인 고민을 겪고 있음을 수긍하게 되었고, 적극적인 문제해결 자세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looks at the results of a songwriting activity undertaken by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Korea to acquire some understanding about their emotional states and what they worry about.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comfortably through the songwriting activities, and it may be deemed that allowing the use of music and words to communicate their worries could provide an educationally meaningful method to enhance their dialogue with others and in their relationship-buil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llege students’ worries were explored by dividing the contexts of their worries into
human relations, lack of self-esteem, career and employment problems, academic problems, and economic problems, and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their worry topics tended to vary betwee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years. Also, that by allowing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through songwriting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see whether a method other than consultation and counselling could be used to express and reflect on students’ worries. From this process of allowing expressions of changes in one’s feelings or one’s worries, it was possible to ascertain that while anyone can be suffering from personal worries, that such an activity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active problem solving attitude. This study’s objective is to provide some help in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and their worries through their musical expressions, and to show the possible self-help and self-development aspects of such experi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