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itial study about ‘Beomgyogwa Munsikseo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제응(Jeon, JeE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4호, 769~7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범교과 문식성’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시론 차원에서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문식성(文識性)에 대한 여러 관점을 고찰하였다. ‘문’에 대한 시각과 그 변화, ‘식’에 대한 시각과 그 변화, ‘문’과 ‘식’의 상호 작용에 대한 시각과 그 변환 등을 토대로 문식성 구조의 요소를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논의에 근거하여 ‘범교과 문식’의 이원 구조를 제안하였다. 하나는 ‘범교과 문(文)’이고, 다른 하나는 ‘식(識)’이다. 전자는 범교과 문식성에서 ‘범교과 문’을 하나의 장르로 보았고, 후자는 ‘식’을 5가지 요인(읽기 이해, 쓰기 표현, 언어·어휘지식, 낱말 읽기·철자 쓰기, 읽기동기·쓰기동기)의 작동 체계로 보았다. 끝으로, 범교과 문식의 작동 방식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탐구하였다. 하나는 수목적 접근이고, 다른 하나는 리좀적 접근이다. 리좀적 접근 방식의 작동 원리에는 접속의 원리, 이질성의 원리가, 수목적 접근의 작동 원리에는 선택 결합의 원리, 체계화의 원리가 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Beomgyogwa munsikseong’. I discussed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literacy in ChapertⅡ. The structure of literacy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Mun’ of ‘Munsikseong’, and the other is the ‘Sik’ of ‘Munsikseong’. Also, there is a interaction of ‘Mun’ and ‘Sik’. I proposes a binary structure of ‘Beomgyogwa Munsikseong’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II. One is ‘Beomgyogwa Mun and the other is ‘Beomgyogwa Sik . The former is defined as one genre, the latter is defined as the operating system of five factors((reading comprehension, writing process, language·vocabulary knowledge, word reading·spelling writing, motivation·writing motivation).
목차
Ⅰ. 서 언
Ⅱ. 문식성에 대한 관점 고찰
Ⅲ. 범교과 문식성 탐구
Ⅳ. 결 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