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lf-Compassion on School Happiness: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pathy, Interpersonal Compet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혜(Lee, Ji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4호, 699~7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자비, 인지적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하여 더 간명하고 적합한 모형을 찾아내고, 최종모형 내 각 변수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충북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47명의 자료를 AMO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자비, 인지적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 학교행복 간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두 모형 모두 적합도는 괜찮았으나, AIC값이 더 낮은 부분매개모형이 더 간명하고 적합한 모형이었다. 이는 청소년의 자기자비가 학교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매개변수인 인지적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기자비, 인지적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 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접적인 영향력은 청소년의 자기자비가 대인관계 유능성을 거쳐 학교행복에 이르는 경로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artial mediation and complete mediation models involving self-compassion, cogni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affect adolescents’ school happiness, to identify the more concise and appropriate model, and shed light on the effects of each variable within the final model.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from 247 student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Chungbuk using the AMOS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and complete mediation models with adolescents’ self-compassion, cognitive empath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chool happiness were compared. Both models showed a good fitness, bu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had a lower AIC value, hence was more concise and appropriate. This means that adolescents’ self-compassion has a direct effect on school happiness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happiness through the mediation of cogni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with regard to the specific paths through which these variables affect school happiness, self-compassion, cogni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ll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particular, self-compassion had the greatest effects on school happiness. Therefore, implementing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to boost self-compassion, cogni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order specified)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providing independent support for each of these variables to increase adolescents’ school happ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