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Education for Starting Agriculture Business on Self-Efficacy for Starting the Business and Satisfaction Level from Education Cou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소영(Lee, So Young) 김은경(Kim, Eun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4호, 483~5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학계 대학 및 정부기관 등에서 행하고 있는 창업농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창업농교육 경험에 따른 학습자의 창업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창업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은 창업자신감, 과제선호도, 자
기조절효능감으로 구분하였다. 교육만족도는 창업 동기 부여, 교육 내용에 대한 만족, 교육기관에 대한 신뢰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남학생일수록 창업자신감, 과제선호도, 자기조절효능감은 높았고, 전공에 있어서는 축산, 과수 전공자들
이 상대적으로 창업자신감이 높았다. 교육만족도에 있어서는 창업동기부여, 교육기관 신뢰 정도에 대해 학과별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창업농교육 경험(학년별)에 따른 창업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농교육의 교육
내용과 교과과정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향후 창업농교육은 첫째, 창업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창업적 기술 교육의 강화, 둘째, 학습자 역량 중심의 창업농 교육 설계, 셋째, 성별·전공의 차이에 따른 창업농교육의 세분화 등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for starting agriculture business that has been performed by agriculture education institutions and 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looks into the effect of the education for starting the
agriculture business on self-efficacy for starting the business and satisfaction level from education course. Self-efficacy consists of self-confidence for starting the business, task preference level and self-control efficacy. The study measures the satisfaction level from the education course by classifying into the categories such as
motivation for starting the business, satisfaction from education contents and trust in education institution. As a result, male students are more satisfied in self-confidence for starting the business, task preference level and self-control efficacy. The students majoring in animal husbandry and fruit growing are relatively higher self-confidence for
starting the business. Regarding the satisfaction level from the education course the findings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partment in the items of motivation for starting the business and trust in education institution.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self-efficacy for starting the busin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from the education course in any grade of the students, which means that revamping the education course is necessary. The researcher think that three points ar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for starting the agricultural business. First, strengthening the business-starting technique education to improve self-efficacy for starting the business. Second, planning the education course focusing on improving the capability of would-be founder. Third, seeking the classified education strategy suitable for each gender and each maj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