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ime-management train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academic procrastination, volitio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영(Kim Eun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호, 351~3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관리 훈련이 여대생의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 지통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S대학 재학생 61 명으로 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30명이다. 학생들에게 훈련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에 시간관리 행동 검사, 학업적 지연행동 검사, 의지통제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 램 참여하기 전과 후 학업성취도(GPA)를 조사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 1회 총 10 차시에 걸쳐 시간관리 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간관리 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시간관리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학업성취는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시간관리 훈련은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훈련은 바람직한 학업적 효과를 도출하였고, 학생들이 평 생학습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기관리 습관을 형성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ime-management train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academic procrastination, volitio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61 university student of Seoul Women s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1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a control group. Time management behavior, Academic Procrastination, Volitional Control Tests were taken as pre- and posttest. Academic achievements were obtained from grade point average(GPA) score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were taken as pre-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10times training for 16 weeks.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didn t get any treatment during those periods. Academic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OVA were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positive effects of time-management train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and academic development as follows : First,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Second,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volitional control. Forth,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