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the Instructional Textbooks for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숙(Kang Kyng Sook) 박미경(Park Mi Kyung) 오유정(Oh Yoo Jung) 홍혁(Hong Hy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호, 139~16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학 분야에서의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연구동향을 알아보 고 향후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개발?보급?적용과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 기 위해 국내 특수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에 22 종의 학술지에 게재된 39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연도별, 연구자별, 내용별로 특성을 파악한 후 세부주제별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학 분야에서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교과용 도서에 대한 관 심은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2000년대 이후에 들어오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음 을 알 수 있었다.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관련 논문을 연구자 협의를 거 처 교과서 개발 및 공급, 교과용 도서와 교육과정 연계, 교과용 도서에 대한 내용분 석, 교과용 도서 적용 및 활용,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디지털 교과서 등 여섯 가지 세부주제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논의하였다. 끝으로 특수교육학 분야 에서의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학생들을 위한 교과용 도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 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available from special education related journals in Korea to find out research trends on the instructional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ment, dissemination,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futur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textbooks. 39 research articles from 22 journals were selected. The articles were divided into year, researchers, and contents, and further categorized by specific topics in order to find the tre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terests in the instructional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began after the year 2000, which is the year when the 7th academic curriculum was implemented. Researches on the special education instructional textbooks for the Basic Curriculum were divided into 6 categorie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instructional textbooks, connection between the instructional textbooks and curriculum,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instructional textbooks,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the instructional textbooks,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the instructional textbooks, and digital instructional textbooks. Lastly, suggestions to promote special education related researches on the instruction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qualified for the Basic Curriculum. This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basic curriculum textbook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시사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