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Media ContactExperience and Students’ characteristics on Middle School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재우(Jae woo Choi) 강운선(Woon sun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호, 89~1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주민에 관한 중학생의 매체접촉경험유형이 학습자 특성변인과의 상 호작용을 통해 다문화수용성 태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검증하고, 이를 근거로 효과적인 중학교 다문화 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매체접촉경험 이 다문화수용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H1). 둘째, 중학생의 매체접촉경험이 다문화수용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적 집단에 따라 차 이가 있을 것이다(H2). 가설을 검증하고자 대구 지역 중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 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지역의 중학생들은 메시지 내용(부정/긍정)과 메시지의 강도(강함/약함)에 따라 ‘경험1’(약한 부정; 8%), ‘경험2’(강한부정: 63%), ‘경험3’(강한긍정; 11%), ‘경험4’(약한긍정; 18%) 의 네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매체접촉경험유형이 다문화수용성태도에 미치 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성별과의 상호작용효과는 검증되었으며, 가설 은 지지되었다. 셋째, 매체접촉유형이 다문화수용성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적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성적과의 상호작용효과는 검증되었으며, 가설
은 지지되었다. 셋째, 매체접촉유형이 다문화수용성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적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성적과의 상호작용효과는 검증되었으며, 가설는 지지되었다.
영문 초록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media contact exper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f so, what are the types? 2) A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and media contact experience on multicultual acceptance? 3) A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media contact experience on multicultual acceptance? Specifically, the two hypotheses were following; : The comb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and media contact experience has relative effect on multicultual acceptance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 The comb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and media contact experience has relative effect on multicultual acceptance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 The comb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media contact experience has relative effect on multicultual acceptance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To gather the data, surveys were distributed at middle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Latent class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media contact exper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simple effects using MANOVA were analys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s. The research results were following: 1) The types of media contact experience are ‘strong negative exdperience’(26.3%), ‘week negative exdperience’(15.8%), ‘strong posituve exdperience’(26.3%), and ‘week positive exdperience’(15.8%). 2) was accepted. 3) was accepted.
was accepted. 3) was accep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