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Latent Class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iffer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운선(Woon sun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2호, 499~52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관점을 유형화하여 인식 유형과 다문화 교육목표 및 교육대상을 바라보는 인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의표집 방법으로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잠재적 집 단분석 방법, 다차원척도법, 교차분석, 그리고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필요악형 (15%), 유명무실형(7%), 적극적 긍정형(45%), 그리고 관념적 긍정형(34%)으로 유형화 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유형은 다문화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 셋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은 다문화 교육대상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 넷째, 교사교육의 전공과정과 교직과정에서 이수한 다문화교 육경험은 인식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among pe-service Teachers? In other words, is there a latent class structure that adequately represents the heterogeneity in underlying types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If so, what are the types? 2) Ar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predictive of membership in types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62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carried out using PROC LCA for SAS.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necessary evil (36.5%)’, ‘positively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49.5%)’, ‘indifferent perception (14.0%)’, and conceptually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30.5%). 2) Both courses for major (p < .0001) and courses for teaching profession(p<.01) were predictors of latent class membership
목차
Ⅰ. 서 론
Ⅱ.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