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영(Kim Eun Young) 박인혜(Park In Hyae) 김윤경(Kim Youn kyoung) 이정미(Lee Chong 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2호, 373~38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낙관성, 정서조절능력 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구조모형을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 처 이론을 바탕으로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구축 한 2012년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자료 ’중학교 1-3학년 2,986명을 대상 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낙관성, 정서조절능력, 우울 등 변인간의 상관분석과 회귀분 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0.0으로 통 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낙관성과 정서조절 및 우울에, 낙관성은 정서조절과 우울에, 정서조절은 우울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낙관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hantom model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낙관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낙관성과 정서조절능력의 증진을 위한 중재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긍정적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 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and emotional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on the basis of stress-appraisal-coping theory proposed by Lazarus and Folkman(1984). A total of 2986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nalyses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the direct effects of perceived stress to optimism,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on. Optimism was also directly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gave direct effects to depression. Regarding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mediating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tilization of adap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such as optimism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 may b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during adolescence. Thus, the promotion of those skill may be the core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for depression in adolesc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