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Korean Wri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재파(Baek Jae P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3호, 463~48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독립변인과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87년부터 2015년 1월까지 발표된 한국어 쓰기 교육 분야의 연구들 중 본 연 구의 기준에 맞는 55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5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쓰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913으로 큰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인에 따라 재분류하고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0.746, ‘교수 내용’에 따른 효과크기는 0.985, ‘매체 활용’에 따른 효과크기는 0.839, ‘수업 외 활동’의 효과크기는 0.816, ‘피드 백’의 효과크기는 0.875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학습자 숙달도, 실험집단의 인원, 실험 처치 횟수에 따른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을 다국적 반으로 구성하였을 때(0.983), 실험집단을 20명 이상으로 구성하였을 때(1.155), 15~19회 실 험 처치를 하였을 때(2.401)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sizes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by the moderator variables, by performing a meta-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had verified the effects of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Towards this end, the 55 papers that had met the criteria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those concerning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published from 1987 to January, 2015, and then the 59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was shown to be great with 0.913.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s by ‘teaching-learning Methods’, by ‘educational contents’, by ‘media utilizations’, b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by ‘feedbacks’ were found to be 0.746, 0.985, 0.839, 0.816, and 0.875 respectively.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moderator effects according to the learners’ language blocs, the learners’ proficiencies, and the numbers of experiment participants, the greatest effects were found to be 0.983 when the experiment group was organized with multinationals, 1.155 when the participant group were composed of more than 20 participants, and 2.401 whe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15 to 19 tim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