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ynamization measure of feedback structure for improving learner’s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효정(Lee Hyo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3호, 377~4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를 끌어내기 힘든 대형 강의에서 피드백 구조를 다각화하여 피드백의 빈도와 양,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높이 고자 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피드백 구조를 다각화하려면 교수자와 학습자 대표(조장), 조원들의 역할을 정확 히 인지하고, 피드백을 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토의·토론 시 언어?비언어로 피드백을 주는 방법, 보고서에 대한 피드백을 주 는 방법, 피드백을 평가 체계 안에 포함하는 방법 등에 대해 학습자에게 공지하고 교 육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다양한 피드백에 대한 필요성과 방법을 인지하고 토의?토론이 활성화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는 등 적극적으로 피드백 구 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 구성을 짜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피드백 구조를 강 의에서 활용하면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주도적인 학습 태도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영문 초록
In an assembly hall it is difficult to get an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This study is the result of contemplating a way of increasing the learner’s self-direction in a pyramid feedback structure, in other words, learner to learner, learner representative to professor, professor to all leaners. In order to use the pyramid feedback structure effectively during a lecture diverse preparation is needed. First, a clear understanding about the roles of the professor, learners representative and learners must be made, and also a process of agreeing in the specific method of feedback is needed. To agree in a method of feedback, diverse methods such as verbal/non-verbal feedback during a debate or discussion, feedback about a report and including the feedback in the evaluation system must be notified and go through an education process. Also the professor must discern the need and method in relation to the diverse feedback methods and maker a study course that can actively use such methods. And lastly, the professor must select a topic for debate/discussion, educate about the specific method of feedback and give support for a continued application, and guide a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learners. By applying the diverse feedback structures in an assembly hall, there were positive results where the learner’s lecture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crea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Ⅳ. 피드백 구조를 활성화시키는 구체적인 수업 방안
Ⅴ.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에 대한 학습자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