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ubric on Concurrent Discussion in Web-Based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재원(Jung Jae 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4호, 657~6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을 위한 루브릭이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습자들이 경험한 효과성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을 이끌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방법 및 교 육공학’을 수강하는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을 실시하였다.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을 위한 그룹은 3-4명이 한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대상자들 은 총 6그룹으로 무선 배정되어 3그룹 10명은 자기평가를 실시하는 루브릭Ⅰ을 제 공받았고 나머지 3그룹 10명은 자기평가와 동료 평가를 실시하는 루브릭Ⅱ를 제공 받아 웹 기반 동시적 토론에 활용하도록 했다. 토론을 모두 마친 후 학습자들의 인 지적 참여 수준을 분석한 결과 루브릭Ⅱ를 제공받은 그룹이 고차원적인 인지적 참 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적 참여의 상위 수준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빈도가 더 높았다. 루브릭을 활용한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의 효과성에 대해 학습자들의 인식 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웹 기반 동시적 토론이 실시간 의사소통, 의견 제시, 학 습내용 이해, 심리적 안정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다고 느꼈으며 루브릭에 대한 효과성 은 성찰 기회 제공, 객관적 평가 기준 제시, 논증 지원, 비판적 사고 촉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rubric on the degree of participants’ cognitive engagement an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concurrent discussion experienced by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20 undergraduate students of D Women’s Univers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for concurrent discussion in web-based environment. Three groups of 10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rubricⅠ type to conduct self-assessment and the remaining three groups of 10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rubricⅡ type to conduct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After concurrent discussion in web-based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participants’ cognitive engagement using a rubricⅡ showed high-level cognitive engagement higher and the level of cognitive engagement frequently interact with each other higher at a higher level.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concurrent discussion,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web-based concurrent discussion was effective in terms of real-time simultaneous communication, present their own opinion, the comprehension of content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spects and the rubric was effective in terms of reflection opportunities,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argumentation, the promotion critical think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