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Instruction Style and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혜(Ji Hye Kim) 강호수(Ho Soo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4호, 209~2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7차 교육과정 이후의 교육과정의 변화는 모든 학교급에 공통적으로 학생을 주체적 학 습자로 보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 현장에서는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인해 교수자 중심 수업이 주로 사용된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법을 교사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교수효능감과 학습자 중심 교수 법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 개발원에서 수집한 실태 연구 2주기 자료 (2006년-2008년)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 교수자 중심 수업, 그리고 교수효능감 변인을 측정하였으며 1)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사용 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 교수자 중심 수업, 그리고 교수효능감 변인을 학교 급 별로 비 교 분석하고, 2)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여, a) 교수효능감과 학습자 중 심 수업, b) 교수효능감과 교수자 중심 수업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초 등학교 교사들이 중,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모든 학교 급에서 교수효능감과 학습자 중심 수업 사이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별히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 사용이 적은 중고등학교 교사 들을 위해 다양한 교수 방법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으로부 터 오는 부담이 많은 중고등학교 교사에게 교육과정 개정을 통한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기 이전에 지속적이고 적용 가능한 교수방법 지원에 힘써야 한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도모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있어서, 모든 학교 급에서 교사의 학 습자 중심 수업 정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드러난 교수효능감에 주안점 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South Korea has emphasize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CI)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However, researchers claim that teacher-centered instruction is still commonly used in classrooms due to the competitive college-entrance exam system. Thu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use of LCI compared to teacher-centered instruction by school level,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LCI and teaching efficacy. Using the data from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pplie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use LCI mor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2) At all school levels, teaching 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s use of LCI,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1) More support is needed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use more LCI; and 2) Teacher educators should focus more on teaching efficacy as an important factor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because of its positive relevance to teachers use of LCI.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