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f the physical education applying cooperative gam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대권(Park, Dae G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383~41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행연구로서,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 5개월 동안, 매주 1시간씩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과정은 조재식(2002)이 제시한 실행연구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16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1차 실행연구의 성과를 검토하고 반성하여 2차 실행 연구를 계획하고 재실행하였다. 1차 실행연구 결과 학생들은 신기함과 즐거움 등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나, 운동기능이 뛰어난 학생들의 경우는 약간의 부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실행연구에서는 1차 실행연구의 평가를 토대로 게임 만들기를 도입하여 학생들이 직 접 게임을 수정․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행의 결과, 협동적 게임의 실행 과정은 학생들이 가지는 협동적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제대로 된 수업이 진행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협동적 게임의 실행연구 결과 학생들은 즐거움, 친밀감 그리고 책임감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경쟁중심의 체육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inspect how the physical education applying cooperative games can be applied on students, but also to examine the various phenomena and students change. To do this, the physical education applying cooperative games was conducted for 6th graders of B elementary school from March to July of 2013(a class per a week). An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teacher. As this study was an action research, so the process introduced by Cho(2002) was adapted to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making the lesson plan, carrying out the plan and observing the process and result, reflecting the process and result, modification the plan․plactice and observation․repetition of refl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16 weeks and the second action research was planed and carried into practice after evaluating and reflecting the first action research. The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showed that students had positive experiences like curiosity and enjoyment but some high-skilled students had some negative experiences. So,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 measure for high-skilled student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first research, the game making method was introduced to make students modify and supplement the games themselves. The result of the second research showed that students experienced pleasure, affinity and responsibility. So, it seems that the physical education applying cooperative games showed the possibility to be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competition-oriented physic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요약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