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arch for Poetry Education Methods connected with Metaphor and Ima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순영(Im, Sun-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299~32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작품과 심미적으로 상호교통(Transaction)하면서 문학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시 체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시 해석은 작품이 만들어내는 의미장과 학습자의 능동적 수용,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이 동시에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독자의 심미적 체험을 강조하는 Rosenblatt의 ‘심미적 상호교통 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은유와 이미지를 연계하여 시를 체험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은유와 이미지는 시의 핵심 속성이면서 은유를 사용하는 능력에 이미지를 떠올리는 능력이 동반된다는 점, 둘 다 상상력을 바탕으로 지적인 것과 감각적인 것을 오간다. 유의미한 시 체험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은유와 이미지를 연계하여 확장적 사고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를 지각에서 통찰에 이르는 세 과정-지각적 상상력, 기억적 상상력, 예견적 상상력으로 살펴보면서 각각 대상, 주체, 세계의 부각 과정과 연결시켜 보았다. 그리고 학습자가 시의 심미적 체험의 질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면과 장면 사이의 이미지의 유사성을 연결해 내적 연관관계를 찾고 자신의 삶에 투사할 수 있는 은유의 과정과 맞물려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subject in this paper is the method of poetry education how to draw poetry imagination and aesthetic transaction. Connecting metaphor with image is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ability of making use of metaphor is accompanied by the ability of occurring image and real poetry experience require expansive thinking by transaction of intellectual and sensuous one. For this, process of image leading from perception to discernment is divided into perceptive, memorial and prognostic imagination. It is presented that three kind of imagination can be connected with emerging process of object, subject, world in this paper It is required for learner to find out inner relevance through connecting similarity of image between scenes for qualitative aesthetic effect.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applying education method of expanding imagination connected with metaphor and image, is that it should make learner to know really valuable expression by reviving hidden feeling and meaning in the concrete instead of conventional ways. This process, observing value of feeling, will guide for learner to re-establish value of self existence and get free imagination out of habitual and automated cognition frame.
목차
Ⅰ. 서 론
Ⅱ. 은유, 이미지를 통한 심미적 상호교통의 시 체험
Ⅲ. 이미지화의 과정과 문학적 상상력
Ⅳ. 이미지화 상상력과 은유를 연계한 시 체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