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r-disciplinary Teaching Strategy Based on Karl Popper Debat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담이(Bang, Da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253~2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학문 통합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 수업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전략은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인 쟁점 탐색 단계에서는 쟁점을 인식하고, 관련된 학문 분야를 탐색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인 토론 준비 단계에서는 각 조의 입장(찬/반) 및 학문 분야를 선택하고 이에 근거하여 토론 전략서를 작성한다. 세 번째 단계는 학문 통합형 칼 포퍼식 토론 단계로 하나의 토론에서는 하나의 학문 분야에 해당하는 근거만을 활용하여 토론을 시행한다. 이러한 토론을 여러 학문 분야에 대하여 여러 번 시행함으로써 쟁점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마지막 단계는 쟁점 해결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여러 학문 분야의 근거를 통합하여 자신의 의사를 결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사립 대학교 1학년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학문 통합 수업을 시행한 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를 사용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범주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모두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p<.01).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teaching strategy based on Karl Popper debate and to examine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Inter-disciplinary teaching strategy based on Karl Popper debate has 4 stages. At the first stage, the stage of exploration of issues, students recognize issues and specify issue related disciplines. At the second stage, the stage of preparation of debate, the stance(approve and disapprove) and the discipline of each group are chosen and then debate plan is made accordingly. At the third stage, the stage of inter-disciplinary Karl Popper debate, each debate takes logical basis from one discipline. A series of such debates can provide understanding of issues from the inter-disciplinary point. Lastly, at the stage of issue solving, each student makes their own decision on the issue by integrating multiple disciplines. Teaching strategy was implemented to 66 university entrants for the one semester.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was used to examine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all the subcategori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p<.01).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학문 통합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Ⅴ.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학문 통합 수업 전략의 효과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