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ifferent Levels of State Anxie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주(Jeon, Eun-ju) 김춘경(Kim, choon-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185~2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심리적 독립을 선정하여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불안수준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의 심리적 독립과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관련학과의 예비유아교사 703명 중 불안 수준에 따른 상위 10%, 하위 10%의 14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심리적 독립과 정서지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단계선택방식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불안수준에 상관없이 심리적 독립은 정서지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안수준이 높은 예비유아교사와 낮은 예비교사는 심리적 독립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정서지능 중 사고촉진, 정서조절은 불안수준이 높은 예비유아교사의 경우 갈등적 독립만이 영향을 미쳤지만 불안수준이 낮은 예비교사의 경우 갈등적 독립과 기능적 독립이 영향을 미쳤다. 정서의 표현, 활용, 감정이입에서는 갈등적 독립이 불안수준이 높은 예비유아교사와 낮은 예비교사 모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한계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uis study is to examine psychological separ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ifferent levels of state anx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03 male and fe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sampled randomly in Daegu and Kyungbuk.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PSI), Symptom Checklist-90- Revised( SCL-90-R),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 This study estim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state anxiety. In analyzing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by using SPSS Statistics 18.0 program.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psychological separation effect emotional intellige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anxiety level.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influenced psychological separation. Thus, psychological separation is the biggest influence emotional intelligence. Discussion of this study result, implication and limitations were describ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