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연홍(Jeong, YeanHong) 유형근(Yu, HyungK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165~1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자기보고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및 인터넷 게임중독 관련 척도와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 관련 연구에서 드러난 아동의 게임중독 특성을 바탕으로 3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하고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학생 97명 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게임몰입 5문항, 게임환경 2문항, 게임습관 2문항의 총 3요인 9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전체 신뢰도, 하위 요인간 신뢰도, 각 문항 및 전체 문항 간 상관은 적절하였다. 또한 요인 분석을 통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게임몰입, 게임 환경, 게임습관에 대한 3요인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척도의 개발이라는 것과 인터넷 게임중독문제에 있어 중독의 뚜렷한 증상을 드러내지 않는 시기인 초등 저학년 아동의 특징을 반영한 문항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lanned to develop a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stablished scale, the concept of the internet game addiction was defined. This study selected key elements of the sub factors by drawing the implications from a previous study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the factor of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which had been used previousl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by 7 professionals. Then, the survey of 97 2nd grade students was made.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a self-reporting Likert 5-point scaled questionnaire containing 35 questions after minutely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and content validity of the first 90 questions selected. The results of study are : First,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consists of 3 factors with 9 items : overindulgence in internet games (5 items), accessibility to internet games (2 items), and experience during the internet game (2 items). Second, a 3-factor structure confirmed through factorial analysis. Appropriateness of the scale confirmed through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onclusi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 appears to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identify the childre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the scale is self-reported. Overall, this scale will be a great help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ternet game addiction for lower 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문항개발 과정
Ⅲ.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