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Smartphones Utiliz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연(Choi, Jiyoe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599~62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스마트폰 활용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어떤 동기에서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이용 동기와 행위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목적 표집을 통해 서울, 경기, 충북, 전북의 교원양성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97부의 자료를 빈도분석, 평균비교, t 검증, 요인분석, 회귀분석, 군집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는 ‘무료 메신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기 위해’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용 동기 요인은 ‘정보추구’, ‘유행추구’, ‘편이추구’, ‘자기계발추구’, ‘즐거움추구’의 5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메신저’, ‘인터넷’, ‘카메라’, ‘SNS’ 등으로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인터넷’ 순으로 나타났다. 요인 분석 결과 이용 행위 요인은 ‘유용성’, ‘여가/자기관리’, ‘이동 전화’, ‘소통/미디어’의 4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셋째, 이용 동기 요인이 설명하는 이용 행위 요인은 최소 15.4%에서 최대 50.2% 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이용 동기 요인에 따라 정보추구형, 다용도활용형, 유행지향형, 소극활용형의 네 군집으로 구분되었고 정보추구형이 가장 많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know what were the motive and behavior of pre-service teacher on smart phone use? and how does motive works in smart phone using behavior? .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urvey asked pre-service teacher of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in Seoul Gyeonggi Chungbuk Jeonbuk province by purposing sampling. 597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ean comparison t test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use free messenger and to find information more easy were highest on smart phone using motive. Factors of using motive were consist of 5 things: information seeking following the popularity following the convenience self development oriented enjoyment oriented . Second most pre-service teachers were using smart phone with messenger internet camera SNS . And Kakao talk Facebook internet were most favored application of using. Factors of using behavior were consist of 4 things: usability leisure/self-regulation’ ‘cellular phone’ ‘communication/media’ Third factors of using motive explain using behavior from 15.4% to 50.2%. Besides pre-service teachers were separated by 4 groups: ‘information seeking group’ ‘multipurpose using group’ ‘following the popularity group’ ‘passive using group’ And ‘information seeking group’ was highest of al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