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pplication of Mathematical Reasoning-Centered SMART Instructional Mod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정숙(Pang, JeongSuk) 여승현(Yeo, She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423~4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최근 스마트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었으나 수학교육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범 학교의 6학년을 대상으로 수학적 추론 중심의 스마트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실제 수업에서의 여러 가지 양상을 스마트 교육 요소와 수학적 추론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교육 요소와 관련하여 핵심역량 중 특히 협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졌고, 다양한 상호작용 중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의미 있게 드러났으며, 활용도구 측면에서는 스마트기기와 특화 어플리케이션이 각 학습 주제에 부응되는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학적 추론 요소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요소들이 수업 전반에 걸쳐 비교적 잘 드러났는데, 특히 구체적 사례로부터 공통 요소를 확인하는 과정과 추론을 확장하여 일반화하는 과정이 부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스마트 수업 모형을 초등 수학교육에 적용 할 때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recent emphasis on the SMART learning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for what a teacher needs to do in teaching mathematics. This paper applied a mathematical reasoning-centered SMART instructional model to sixth graders in a designated SMART pilot school and then analyzed common aspects of 8 instructions in terms of SMART education elements and mathematical reasoning elements. An analysis of SMART education elements showed that cooperation among core competencies was employed effectively and that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ppeared meaningfully. Smart devices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were efficiently used according to each content. Various elements related to mathematical reasoning appeared throughout the lessons. Specifically it was noticeable for students to find out the common rule among multiple cases and to generalize their conjectu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of applying smart instructional models to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