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nceptual Definition in Cross-Curricular and Science core Compet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채희인(Chae Hee In) 노석구(Noh Suk G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7호, 23~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핵심역량교육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 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범교과적 핵심역량의 정의에 대한 81개의 키워드 를 추출하였으며, 키워드 사이에 1478개의 연결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 능력, 지식, 기술, 개인, 태도, 학습 등의 키워드들은 연결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파 악되었다. 둘째, 핵심역량의 학습 가능성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발현되는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DeSeCo Project 이후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과학핵심역량의 경우 과학적 지식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단순히 탈맥락적인 지식이 아닌 맥락과 문제 상황에서 발현되는 지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핵심역 량교육의 개념적인 기초를 확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ual definition in Cross-Curricular and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 For this, we selected 47 articles and reports about concept of core competency and we used the network key words analysis program(KrKwic, KrTitle, UciNet and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out 81 key words and 1478 links. Second, after the DeSeCo Project, the key words and links was increased. Third, the contextual scientific knowledge was highlighted in science core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introduc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SCE)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ore concepts of science subject and cross-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