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to Writing Abstracts of Dissertation for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민애(Yu Min a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8호, 639~6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국문 초록
최근 장르 중심 접근법이 활발하게 연구됨과 동시에 대학에 진학하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급증하면서 이들을 위한 맞춤형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학위논문의 장르 분석 연구는 아직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활 발하게 이루어졌을 뿐 한국어교육 분야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의 초록 장르의 텍스트 속에서 나타나는 문법표현 과 그 의미·기능을 통합하는 관점에서, 실제 학습자들이 작성한 학위논문의 초록 텍 스트를 코퍼스 분석과 무브 분석을 병행하여 세밀하게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두 집단은 4개의 무브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KK집 단은 ‘2-3-4-5’ 패턴을, CK집단은 ‘2-1-4-5’ 패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두 집단의 언어적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CK집단에 비해 KK집단은 전형적인 표현의 사용이 빈번하여 글쓰기에 유용한 문법 및 정형 표현을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학술 텍스트 쓰기 교육 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재를 구안하였으며, 이는 학문 목적 학습자가 실제 학위논문 을 작성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ammar contents by func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grammatical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text of abstract. The study distinguishes the text structure and grammatical function using corpus analysis and the move analysis by establishing the actual abstract text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tive Korean speakers used ‘Move2-Move3-Move4-Move5’ patterns, non-native Korean speakers tended to favor the ‘Move2-Move1-Move4-Move5’ patterns. When they start writing the abstracts, both groups were often begins with Move2 more than Move1. Second, native Korean speakers used standardized grammatical expressions from each Move-type compared to non-native Korean speakers who seemed to have similar usage to their counterparts, especially Move4 and Move5. It was possible to extract useful usage such as natanada, boida, hwaginhada, bakhida, jeongnihada, goryeohada, silsihada, geomtohada, chuchulhada, and so on. In terms of the tense, present tense was most frequently used in Move1, Move2, and Move5, and past tense was usually presented in Move3. Thus, abstract is sufficient to become a genre sharing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study. In the end, reflecting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an effect on educational contents when teaching how to write text.
목차
Ⅰ. 서론
Ⅱ. 무브 분석(move analysis)을 위한 이론적 전제
Ⅲ. 두 집단의 학위논문 초록 텍스트의 실현 양상
Ⅳ. 무브 분석을 활용한 초록 텍스트의 교육 내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