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lassroom language patterns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microteach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상경(Kim, SangKyung) 김은영(Kim, Eun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195~2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수업시연에 나타난 수업언어를 분석하여 그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전략과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개설된 ‘수업설계와 마이크로티칭’의 수강생 20명을 대상으로 수업시연을 실시하고 녹화한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수업시 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2502개의 수업언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유형을 ‘발화 발문 응답’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발화’가 수업언어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수업언어 유형을 살펴보면 ‘발화’에서는 ‘설명하기’가 ‘발문’에서는 ‘지식확인’이 ‘응답’에서는 ‘반복하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예비교사의 수업언어에 나타난 특성은 다양한 학문적 접근방식을 사용하는 수업 언어 사용과 권위주의적 수업언어 응답처리 능력 결핍 부정적인 정의적 전략 사용 등이다. 그 밖에 예비교사의 부적절한 경어사용 자신감 결여 등이 수업언어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수업언어 전략 및 교육적 고찰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s classroom language patterns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a graduate education program at a women’s university. Teacher-talk has been valued as the most viable teaching and instructional tool. Current curriculum in teacher education however has not been properly grounded in research addressing how effectively teachers can utilize different classroom language strategies to deliver lessons control student participation and impro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Categorizing teachers’ classroom language as either an ‘utterance’ ‘question’ or ‘response’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questions and statements. Analysis of 15-minute microteaching conducted by 20 pre-service teachers reveals that 65% of 2502 data are utterances; 26% questions; and the remaining 9% responses.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content of each teacher-talk indicates that the participants made statements simply to explain content and order students to follow their instruction; questions were intended to confirm previously taught facts and knowledge; and the ratio of questions to responses is 3-to-1 which indicates that these teacher candidates did not professionally handle the majority of students’ responses. This study encourages specific enhancements to the current curriculum of pre-service teacher programs so that student-teachers can learn theory while gaining sufficient practice using teacher classroom language and thereby be able to skillfully choose various strategies for achieving planned objectives: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sharing learning skills asking open-ended questions to broaden students’ perspectives on discussion topics and extending students’ responses into classroom dialogue or further investig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