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on Language Learning in a Primary EFL Classroom : learners perspectives on it
이용수 14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희(Kim Youn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3호, 955~9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들의 언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32명의 5학년 학생들과 팀티칭으로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 한국인 영어교사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외국인 교사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여러 유형의 교사 피드백과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의 교실 수업 관찰과 동시에 녹화와 녹음으로 수업시간에 발생하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데이터가 모아지고 분석되어 졌다. 또한, 교사가 다른 종류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이유를 이해하고 학생들이 어떻게 제시된 교사 피드백을 인식하여 그들의 학습에 반영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인 영어 교사와 4조에 속한 5명의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데이터가 모아지고 분석되어 졌다. 연구 결과 평가적 또는 묘사적인 여러 종류의 교사 피드백이 제시 되어 졌으며 학생들이 그것을 그들의 학습에 다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적 피드백은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묘사적인 피드백은 학습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현재 학습 정도와 앞으로 어떻게 학습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 같은 피드백은 학생들을 적극적인 학습자로써 그들 자신의 학습에 주도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on language learning in a contex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lessons in a South Korean primary school. Participating are 32 children in their fifth year of schooling and two English teachers: a Korean English teacher and a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teacher feedback and learners’ responses to it, classroom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classroom observation in November, 2016. Data from interviews with the Korean teacher and five children in Group 4 have been used to understand why teachers provide different types of feedback and how learners perceive the feedback from teachers and reflect it in their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a variety of types of teacher feedback, such as evaluative, descriptive or provocative, and the ways in which children used these. The study has also revealed that evaluative feedback tends to influence motivation for learning while descriptive feedback can have an impact on learning improvement. It suggests that teachers use effective feedback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where the learners are and how they move forward: such feedback can help students engage in their learning as active learner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s
Ⅲ. Research Methods
Ⅳ. Finding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