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영(Park, Jiyoung) 박한숙(Park Han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호, 762~779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결말 상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실험을 위하여 부산시 소재 P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 60명 중 실험 집단 30명, 통제 집단 30명을 표집하였다. 동화를 활용한 결말 상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경원(2006)이 개발한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6주 동안 동화를 통한 결말 상상활동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사이에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성 척도별 하위 영역 중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창의성 영역별 하위 요인인 언어 창의성, 도형 창의성, 신체 창의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화를 활용 한 결말 상상활동은 유아들에게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rough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four-year-old children from P Kindergarten which located in Busan. This group included 30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30 children of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showed higher overall scores than the children who wer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ity.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language creativity, figure creativity, physical crea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