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thod of Populace Poetry Education for Cultivate people s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정훈(Oh, Jeong-H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호, 571~5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0

국문 초록
민중시 교육의 핵심 교육 요소로 설정한 ‘자각’과 ‘의지’는 각각 민중의 자발적 민중의식과 실천의지에 해당되는 근원적 개념으로서, 민중시 교육에 있어 학생들이 살펴야 할 실질적 쟁점들에 해당하는 것이다. 민중시 속에 펼쳐져 있는 현실에 대해 학생들이 주목하고, 그 속에 내재된 원리를 발견하고 토의함은 물론 나아가 학생들이 몸담고 있는 실질적 현실 공간의 상황과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우리들의 현재적 상황을 점검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민중의식’의 주된 흐름으로 보았고 이 를 구체적 작품을 통해 교육해 나갈 수 있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현실에 대한 근원적 탐구로 형성된 민중의 자기 인식의 체득과 확장으로서의 민중의식이 확립된 이후에는, 현실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실천의지’에 대한 교육적 처방을 고찰해 보았다. 개혁을 위한 전제조건을 작품 속에서 찾아보고 현실적 방안을 실천력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소통 지향적 공동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며, 그렇게 시도된 방안이 실현 가능한지에 대한 천착까지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행해 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Self-Awareness and Will , which this study set up as core educational elements of Populace Poetry education, are fundamental concepts which belong to people s spontaneous class-consciousness and practice will, respectively, and also belong to actual issues, into which students have to look in Populace Poetry education. This study regards guiding students into having a look-see of our present situation as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by not only paying attention to reality unfolded in Populace Poetry, discovering and debating the principle inhering in the poetry but also re-interpreting the circumstances and meaning of actual reality space, in which students are involved; hereupon,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curriculum that makes it possible for a teacher to teach the main stream of class consciousness through concrete works. Meanwhile,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educational prescription for Practice Will as a scheme for reality improvement after establishment of class-consciousness based on people s learning and expansion of self-consciousness which was formed through underlying exploration of reality. While looking for preconditions for reform in works, inquiring into the possibility for reconstituting an organization that could sublimate realistic schemes into the ability of execution, this study tried to go ahead with even delving into the feasibility of the attempted schemes like that wa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목차
Ⅰ. 민중시에 대한 초점화와 교육 가능성
Ⅱ. 민중의식과 소통적 통합의지 중심 민중시 교육
Ⅲ. 민중시 교육을 위한 방법적 제안
Ⅳ. 마무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