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on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of Health Care Divi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 현(Ko, Hyun) 강미희(Kang, Mee Hee) 고은별(Ko, Eun Bae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호, 145~1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0

국문 초록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현대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4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15주간, 2시간씩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개인 및 팀 학습 성찰 일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적 시도로서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과정 및 강의법 개선과 보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수법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s an ability to solve problems by creating new and unique idea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and future society and by thinking creat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if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is effective in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42 students participating in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were selected as a test group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5 weeks with 2 hours per week. After program treatment, to figure out the change of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covariance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ndividual and team learning reflection log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of health care divis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s a new educational attempt focusing on learner, and it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on the improvement and update of existing traditional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Accordingly, universities must make continual effort to improve teaching method in order to reinforce capac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of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