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vironmental Education Class Model Development of Equinox Holistic Alternativ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명지원(Myung, Ji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2호, 1009~10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1세기 교육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는 홀리스틱교육의 시각에서 홀리 스틱교육의 대명사인 캐나다 토론토의 Equinox Holistic Alternative School의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 원리를 통해 홀리스틱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객관적 실증주의에 기초한 모더니즘의 교육은 인간 내외의 관계성과 영성 및 지성교육에 소홀했다. 이러한 교육의 핵심이 환경교육이다. 홀리스틱교육은 인간 본연의 영성을 추구하고, 그러한 관계성을 지각하고 실천하는 영성교육을 위하여 환경교육은 홀리 스틱교육의 지향을 구현하는 핵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교육으로서의 홀리스틱교육은 필연적으로 나와 타인 및 인류와의 연계 속에 사회문제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정의에 대한 인식과 실천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다. 홀리스틱교육은 개인 내외의 조화로운 교육을 통한 영성을 길러 공동체의 사회정의를 지향하는 교육으로서 우리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lass model of Equinox Holistic Alternativ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solve these problems of modernistic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seeks to restore the wholeness of human being with an emphasis on spirituality and meaning. Human nature is an indivisible unity. What we are convinced of the make-up of our human nature largely determines what we are convinced about our educational philosophy. In Korea, the harmful effect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locks normal school education and destroys whole-being education and prompting private tutoring for college entrance exams. In this regard, holistic education expands the perspective and raise possibilities of public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inner life by offering the viewpoint of relationship of humanview, socialview, and worldview.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holistic education has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properties. Therefore, it needs to be a various approach. Holistic education suggests transdisciplinary approach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llowing this viewpoint,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hrough integrating Enneagram and storytelling model into a holistic model for the integrative effect of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홀리스틱교육의 대두와 EHAS의 지향
Ⅲ. 홀리스틱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Ⅳ. EHAS 홀리스틱교육의 우리 교육에의 함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