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ractical intelligence, volition, meta-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8권 2호, 115~1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지능, 의지력 및 초인지와 학업 성취도와의 인과관계를 탐구하는 데 있었다. 실제 지능, 의지력 및 초인지 요인 각 각 16문항씩 총 48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구안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서 실제 지능과 의지력은 동일하게 7문항씩, 초인지는 6문항으로 구성된 최종적인 특성 검사를 실시하여 이 세 요인과 성취도(국어와 수학 성적)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실제 지능과 의지력이 성취도에 각 각 12.3%와 19.4%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초인지 요인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미미하였다. 둘째, 초인지는 의지력을 통해서 성취도에 8.0%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제 지능의 영향을 받은 초인지가 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실제 지능과 의지력 및 초인지가 총체적으로 성취도의 결정에 각 각 12.5%, 19.4% 및 8.0%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에서 각 교과의 교수-학습을 수행할 때 실제 지능, 의지력 및 초인지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업 성취도가 향상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four factors, named practical intelligence, volition, meta-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juniors in senior high schools. For this research, an affective characteristics test composed of practical intelligence, volition and meta-cognition was constructed, validated and used. After performing factor analysis, 20 item-test was decided and used. Also, achievement test scores of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subject-matter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influenced directly by practical intelligence and volition. But, meta-cognition influenced littl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meta-cognition influenced indirectly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influencing on volition and practical intelligence influenced indirectly on achievement through the relation with meta-cognition. Third, total effects of practical intelligence, volition and meta-cognition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somewhat high. Accordingly, instruction should be focused on improving students\ practical intelligence, volition(could be relat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meta-cognition in classroom.
목차
Ⅰ. 연구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해석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