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stitution Plan of Emotion Regulation Unit in Moral Education Textboo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철호(Kim, Cheol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2호, 179~2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도덕교과에서의 감정조절 단원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감정조절이란 주제는 도덕과에서는 신생 영역인데다, 철학, 심리학, 종교학, 뇌과학 등 다양한 학문과 연관되어 있어 지도해야할 핵심 요소(역량)를 선정, 조직하는데 있어서도 여러 목소리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이 다른 감정조절 이론들을 검토하면서 도덕교과에서 가르쳐야할 핵심 역량들을 추출하고 이를 도덕교과서의 체제에 맞게 조직하고자 하였다. 검토 대상으로는 서양에서는 부정적 감정을 강조하는 관점과 긍정적 감정을 강조하는 관점, 그리고 이들을 바탕으로 구성된 학습프로그램(사회정서학습)을 선정하였다. 동양의 감정조절 방법으로는 명상에 주목하였는데, 비슷하면서도 대조적인 유교의 경과 불교의 마음챙김 명상법,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으로 재구성된 명상교육프로그램(MBSR, SQP)을 선정하였다. 전반적으로, 동양과 서양의 감정조절 이론들은 공통적으로 감정적인 문제가 생각(자동적 생각, 자기중심적 생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면서 자각(알아차림)과 수용(받아들임)을 강조한다. 그렇지만 같은 역량을 놓고도 동양과 서양 간에 부여하는 의미의 차이가 있는데, 서양의 심리이론이 자동적 생각(생각의 오류)을 반박하는데 초점을 둔다면, 동양의 마음공부에서는 생각과 감정을 알아차리는 것 자체를 중시한다. 이 중 이론들 간의 공통점은 도덕교과에서 다루어야하는 핵심 역량의 유력한 후보들을 보여주며, 이론들 간의 차이점은 같은 역량들이라 하더라도 우리가 중시하는 이론에 따라 우선순위와 배치가 달라질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동양의 마음공부론에 비중을 두어 핵심역량들을 선정하고 조직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t the instruction plan of emotion regulation section in moral education. This section was introduc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It is five years since the topic was instructed in school actually. So, it is still rather new areas which is needed to be complemented continuously in many ways. Therefore, in this study, I examined traditional psychology, positive psychology, social emotional learning, meditation to extract core elements and tried to place them in the proper order for constructing the lesson of emotion regulation. Overall, theories of emotions regulation emphasize on acknowledge of emotions, acceptance of emotions, appropriate ways of emotions expression. And we could see that while the program in the West have focused on modifying the error of thinking through the ABCDE model, Oriental method have focused on awareness(mindfulness) of feelings itself. Finally, reviewing existing moral education textbook, I suggested a way to compensate for this.
목차
Ⅰ. 머리말
II. 서양의 심리학과 동양의 마음공부
III. 감정조절을 위한 핵심역량과 학습절차
Ⅳ. 감정조절 단원의 구성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