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mployment and College Major Sele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경선(Hong, KyungSun) 김동익(Kim, Dong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2호, 2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국문 초록
대학 진학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반면에 취업률은 여자 대학 졸업생이 남자 대학 졸업생에 비하여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여자 대학 졸업생 취업률이 낮은 것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이 달라서 비롯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취업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26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학생 765명과 남학생 874명, 총 1689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여학생들은 전공 선택 동기에 있어서 적성을 고려하는 정도와 장래 하고 싶은 일에 도움이 되며, 취업전망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하는 것에 있어서 남학생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진로성숙도에 있어서도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및 독립성 영역에서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희망 전공과 취업률이 높은 학과에 대한 응답결과에서는 많은 차이를 나타냈으며 희망 전공과 높은 취업률 전공의 일치도에서 남학생에 비해 일치한 비율이 낮은 편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nder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employment and major sele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765 female students and 874 male students were surveyed during from July of 2014 to August of 2014 in Jellabuk-Do. The experience of thinking about getting a job instead of college entrance,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velopment and maturity level, expected major selection, high employment rated major selection, and congruence of selection on expected and high employment major were analyzed. There is no difference in experience of thinking about the getting a job. Female students showed high rates of career development and maturity, and had better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than male students. Expected majors were different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However, both of female and male students selected similar majors which are high employment rated. The female students’ rates of congruence on expected and high employment rated major was lower than mal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