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School-Based Child Abuse Intervention Mod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순영(Kwon, Soon-Young) 유형근(Yu, Hyeong-K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4호, 231~2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문제를 학교 내의 전문 인력들이 협력적으로 개입하고 외부의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학교기반 아동학대 개입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모형구안과 효과검증의 과정을 5단계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단계에서는 기존의 아동학대 개입방식의 문제점과 학교기반 위기개입 모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입단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분석 및 설계단계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개입팀 구성원의 역할을 추출하여 모형 초안을 완성하였다. 셋째, 타당화단계에서는 전문가 자문내용을 바탕으로 모형 초안을 수정ㆍ보완하였다. 넷째, 적용단계에서는 구안된 학교기반 아동학대 개입 모형을 피학대 아동에게 적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효과분석단계에서는 적용의 결과를 행동관찰, 포커스그룹 인터뷰 등을 분석하여 개입모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개입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school-based child abuse intervention model. As child abuse event has been increased, the importance and need child abuse intervention has been increased. This school-based child abuse intervention model follows five steps. First, it reviewed about studies on the child abuse intervention process and school-based crisis intervention model. Second, it analyzed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 and it designed child abuse intervention model by process and participant roles. Third, it validated final model by expert advice. Forth, it applied prevention, intervention readiness, intervention, post monitering as a school-based child abuse intervention model. Fifth, it verified by contents analysis, teacher s observ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discussed prevention, intervention readiness, intervention, post monitering as a school-based child abuse intervention process And it was explained about roles of teacher, school counselor, school nurse as school-based child abuse intervention team. Second, the result of applied and verified the model show us that school-based child abuse intervention model can be used efficient for improvement of child abuse prevention, recognition and intervention. And, it can be used efficient for positive change of abused child s,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pooling information about child abuse and communication among member in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모형 구안
Ⅳ. 모형의 효과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