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del development of new course evaluation in learner centered socie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경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2호, 401~4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의 중심이 교수(instruction)에서 학습(learning)으로 변화된 현 학습자중심사회에서는 이에 적절한 새로운 수업평가가 요구된다고 판단하고, 이를 위해 학습자중심으로 변화된 교육특성을 살펴보고, 기존 수업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최근 수업평가 발달 경향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수업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학습자중심사회에서의 수업평가는 교수평가 등 총괄적 목적과 수업개선을 위한 형성적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이원화되어야 한다. 총괄적 평가는 교수 누구나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평가문항은 구성주의 교육패러다임을 적용한 문항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형성적 수업평가는 학습자들의 학습상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학생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학습과정에 대한 평가를 하게 함과 동시에 교수는 개별 학생들의 학습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도움과 자원을 제공하는 등의 수업을 개선하는 것이 제안된다.
영문 초록
Now it becomes the learner centered society. As the society is changed, the paradigm of education, we called it \ Constructivism\ ,is changed also and the focus of education moved from \ instruction\ to \ learning\ . According to the discipline of constructivism, the roles of professor are facilitator, guide, and coworker. Professor must design the learning environments, provide the learning resources, and help students learn by themselves. The role of student is an active knowledge constructor and the self regulated learner. So the model of course evaluation should be changed. There are two kinds of purpose of course evaluation. The course evaluation must be operated by purposes separately. For the summative evaluation, the objective survey and expert evaluation must be employed. For the formative evaluation, reflective journal is recommended.
목차
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