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ity Grouping on Learners\ Interaction in Web-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일주 정재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2호, 233~2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 기반 토론학습을 동시적으로 실시했을 때,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성격 특성을 변인으로 투입하여 학습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 능력에 따라 이질집단과 동질집단으로 구성하고, 성격 유형에 따라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성하는 집단구성방식을 토대로 실시간 토론학습 상황에서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요인을 분석해보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웹 기반 토론학습을 동시적으로 실시했을 때, 학습 능력에 따른 집단 구성은 웹 기반 토론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학습 능력에 따라 분류된 동질집단의 학습자는 이질집단의 학습자들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한 편이었고, 성격 특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경우, 웹 기반 토론학습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면대면 토론의 경우에서보다 내향성이 더 활발히 참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외향성보다 유리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결국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의 집단 구성은 ‘동질집단 × 내향성’이 웹 기반 토론학습 활동을 가장 활성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ity grouping on learners\ interaction when web-based learning was performed in real time.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 heterogeneous group and the other is a homeogenous group, depending on their learning abilities. This study was tried to analyze the factors of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a condition of real time online discussion based on the composition strategy of introversive and extroversive personality. Summarizing these results, when web-based discussion was performed in real time, group composition based on learning ability affecte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web-based discussion. Especially, when web-based discussion was performed in real time, the learners in the homeogenous group categorized by the learning ability were more advantageous than those in the heterogeneous group. In case of the group composition based on learners\ personality, it did not affect the effect of web-based discussion. However, compared to real meeting discussion, introversive personality group showed more advantageous than extroversive personality group because of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is result showed that in the group composition of web-based learning of discussion, ‘homeogenous(M․M) × introversive’ group has the higher possibility to activate web-base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웹 기반 토론학습의 전략과 상호작용 분석 모델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