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vestigation of Path Model among Fifth grade pupils\ Meta-cognition, Self-Efficacy, Practical Intellig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2호, 73~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를 통해서 메타인지의 세 하위요인, 실제적 지능의 두 하위요인 및 자기 효능감의 두 하위요인과 성취력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메타인지, 자기 효능감은 성취도와 밀접하게 관련될 뿐만 아니라, 이 두 요인들이 성취도의 변화 또는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기존 연구에서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구조를 보면, 먼저, 메타검토인지(.31), 메타계획인지(.20) 요인의 부하가 확실히 존재한다. 둘째, 실제적 지능의 두 하위 요인인 학교의 일상생활 능력과 학교 외의 실생활 능력 요인이 성취도에 직접 부화되는 정도는 각 각 .47과 .29로 확인되었다. 실제적 지능의 두 하위요소가 성취도의 30.5%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메타계획과 메타검토 요인이 학습자들의 학교외 실생활 지능 잠재요인에 각 각 .31과 .60의 부하를 보이고 있으며, 유의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메타검토요인이 학교일상 생활 지능과 사회적 자기 효능감 요인에 각 각 .75와 .69의 부하를 보이고 있으며, 메타조절요인이 일반적 자기 효능감 요인에 부하되는 정도가 .77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외생요인들간의 중복부하를 최소화하여 잠재요인의 설명분산을 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re has been causal relationship among three levels of meta-cognition, two levels of practical intelligence, two level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Meta-cognition is so closely related with learning achievement, and influences on learning achievement. Meta-testing cognition(.31) abd meta-planning(.20) cognition have somewhat related loadings on learning achievement. Two levels of practical intelligence, such as schol life-related ability and out of school life-related ability have loadings each .47 and .29 on learning achievement. These two sub-factors have influence 30.5% on learning achievement. That is, these two sub-factors of practical intelligence explain 30.5 % of learning achievement variance. Meta-planning and meta-testing factors have loadings .31 and .60 each on learners\ out of school life-related practical ability factor(p<.05). Meta-test cognition factor has loadings .75 and .69 each on school life-related intelligence and social self-efficacy, and meta-cooperating factor has relatively high loading .77 on general self-efficacy. It is needed to perform research for explaining variance of latent factors clearly through minimizing the level of duplication of external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Ⅵ. 분석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