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o inquire into the measures to building the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낙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 개발에 효과적인 전문학습공동체의 구성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선정하고 검토하였다. 첫째, 전문학습공동체의 개념, 특징 및 프로그램을 논의하였다. 둘째, 전문학습공동체에서 교사와 교장의 역할의 논의하였다. 셋째,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위와 같은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주제와 관련이 있는 문헌, 논문, 각종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방안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초점은 일반자격연수프로그램의 전문학습공동체화하는 방안과 전문학습공동체의 기관화 제도화 방안에 있다. 구체적으로 목적, 내용, 방법, 행.재정 지원을 중심으로 방안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measures to building the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improving the teacher\ s professional competence. For the accomplishment of above objective, the following contents were reviewed. 1.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2.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3. To discuss the program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4. To review the teacher\ s and principal\ s role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study the above contents, the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Then the measures to buil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results. Two general measures were suggested. One of them was the measure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n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do these, first of all, teacher\ s empowerment should be assured in relation to various decision making. Another one was to transform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need to be institutionalized in some degree without losing the autonomy in teacher\ s decision making. Also, In the form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re needs to be teacher empowerment in the decision making to some degree. In conclusion, whether it is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r the professional learning program, there should be guaranteed to permit the freedom in decision making while there should be some limitations on ac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전문학습공동체 개념
Ⅲ. 전문학습공동체의 특징
Ⅳ. 전문학습공동체 내에서의 프로그램
Ⅴ. 전문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와 교장의 역할
Ⅵ. 결론 : 전문학습공동체 구성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