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ommunication Literacy Inventory for Measuring Public Understand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성연(Choi, Sung-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2호, 353~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국문 초록
현대 사회는 과학 기술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대중은 다양한 과학 기술 정보를 매체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다. 이에 현대인은 효율적으로 과학 기술 정보를 습득하고 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소양이 요구된다. 특히 대중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검색하고 나아가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는 지식 재생산의 주체로서 그 역할이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의 소양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대중 과학 연구 문헌과 언론학 연구를 통하여 과학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의 대중의 역할을 정교화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과학 커뮤니케이션 소양을 범주화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초등학생, 중학생, 대학생, 초중등 교사, 학부모 에게 적용하고 과학 정보에 대한 습득, 소통 방식, 이해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보의 내용에 대한 소양 수준과 메타인지 과정에 대한 소양 수준이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정보 제공원에 대한 소양 수준이 낮았다. 이 연구를 통해 과학 문화로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정착에 기여하고, 나아가 대중 과학 문화의 발전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cience Communication Literacy Inventory(SCL-Inventory) for measuring understandings and skills about science communication for public to live in a global society. The SCL and associated elements were defined based on and intensive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ten experts in related fields, and a systematic unpacking process to build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The SCL has three dimensions. In content source dimension, it stresses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inquires, scientist and their activities, nature of science, and the relationship of science-technology-society. The author specified three aspects associated with developing an information media; first hand media source, interactional media source, and academically media source. These two dimensions can be constructed at a certain context with which the public is faced. The meta-cognition dimension can be defined as essential or motivation for adaptive ideas, re-construction ideas, and changes in behaviors. The SCL is the cyclical process of these three dimensions. Data from 180 elementary students, 236 middle school students, 125 college students, 65 teachers, and 157 parents of participated students were employed to refine the 44 items selected for the inventor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tested using item response theory. The author propose that this valid and reliable inventory can measure the SCL of public as well as can serve as a valuable tool for researchers and educators to understand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using communication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