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 of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E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남석희(Nam, Suk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2호, 185~19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가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많은 초등학교 학생들은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참여비율이 높았다. 또한 참여기간도 2년 이상 비교적 장기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체육활동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체육 활동에 대한 필요성, 흥미 그리고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은 체육시간을 통해 체력, 운동기능, 지식, 사회성 등을 기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높은 인식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체육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나 학생간의 상호작용은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spect the effects of students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has on P.E class. To achieve this, this study sampled 417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Daegu City, using 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were drawn through Cronbach’s α computation credibility analysis, t-test, and cross-tabulation using SPSS 14.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with mal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being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e duration of students participation was comparatively long, over two years. This suggests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is increasing. Second, it appeared that students thought P.E was necessary and they had an interest in P.E. This indicat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preference for P.E.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lt that they could raise fitness, motor skills, knowledge and sociality through P.E. and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thought highly of the value of P.E. In particular, the students regarde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as being most helpful in increasing their sociality. Fourth, students thought that the teacher-student as well as student-student interactions were inactive.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s of non-participants i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were comparatively lower than those of particip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