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xtension of Creativity by Scaffolding Using Visual Mediat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순주 서현석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6권 1호, 355~3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매개체로 구성된 비계가 아동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창의성 발현 양상이 성별, 학년별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J초등학교 1학년과 6학년 아동 110명으로, 연구자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관하여 통찰하고 계획하는 과정을 지원하도록 구안된 비계설정 도구를 제공하였다. 창의성 검사 도구로는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지 중 그림 완성문제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그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창의성은 시각적 매개체를 이용한 비계가 설정된 후 유창성, 독창성 그리고 추상성 면에서 크게 신장되었다. 둘째, 비계설정에 의한 창의성 발현 양상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유창성과 독창성,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모두에서 남녀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정된 비계로 인한 학년별 창의성 신장의 정도는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1학년의 경우, 유창성은 비계를 설정한 경우에 좀 더 향상되었으나 추상성과 정교성은 비계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의 경우는 유창성만 비계설정 후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주어진 문제 상황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통찰하도록 구안된 시각적 매개체를 이용한 비계설정이 문제 해결을 위해 사고 방향을 넓혀가는 아동의 창의성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창의성에 관한 교육적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sion of creativity of students in using scaffolding composed of visual mediator when thinking of insight in problem solving and to investigate on the function of a new type of scaffolding, which is not used accomplish a phase of activity but a phase of insight. In this study, the problem solving achievements of students not given the scaffolding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students given the scaffolding. Also,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extension of creativity of the males and females, and the extension of creativity of first-grade students and sixth grade student, when they carry out picture completion task in the creativity test of Torrenc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tension of creativity of the males and females that were given the new type of scaffolding improved on different scale. There were meaningful divergence, sixth-grade female students were more advanced than sixth-grade male students in terms of fluency, and first-grade female students were more advanced than first-grade male students in terms of fluency and originality, in their performance in the picture completion task.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