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the integrated subject \ Right Life\ in the 4th to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6권 1호, 273~2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국문 초록
우리 나라에서 통합교과로 \ 바른생활\ 이 도입된 것은 제4차 교육과정 시기이다. 그 동안 우리 나라의 통합교과로서의 ‘바른생활’과는 어떻게 변천되어 왔을까? 이 연구는 우리 나라 교육과정에서 ‘바른생활’과가 제4차부터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교과 특성과 교육목표의 변천, 교육과정 편제와 교육과정 체제의 변천, 교육과정 지도 내용 및 방법 등을 통시대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찰의 결과 그 동안 ‘바른생활’과는 교과서만을 통합하는 이원체제의 통합에서 시작하여 독립교과로서의 ‘바른생활’을 거쳐 교과와 교과간의 통합개념에서 벗어나 활동중심의 주제에 의한 통합교과로 체계를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학생들의 발달적 특징에 적합한 통합교과의 개념 정립, 건전한 인성과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에 둔 교과목표, 학습자 중심의 탈교과적인 통합 방식 등이 돋보인다. 그러나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상 생활 속에서의 반복적, 지속적 지도를 위한 활동 시간의 미확보, 시대 변화나 사회적 요구가 반영되지 못한 내용 요소와 교육과정 구성, 도덕과 중심의 통합에서 벗어나 생활 중심, 경험 중심으로의 주제 통합이 미흡한 점, 자기주도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활동 내용의 부족 등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이 지적될 수 있다. 초등학교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통합교과로서의 운영에 대한 평가와 함께 실제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영문 초록
It was during the period of the 4th national curriculum when \ Right Life\ was first introduced as part of the national integrated subjects. It must be interesting and useful to look into the trends that have so far created the changes in \ Right Life\ of the national integrated subjects. This study discusses the trends of such change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4th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nd changes in the aim of a lesson, changes in the formation of the curriculum and its systems, and guidelines and methods of teaching for the curriculum. Findings of this study prove that \ Right Life\ began changing by moving away from the simple integration of the individual subjects which formed a dual system, and the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an independent subject of \ Right Life\ , and finally established itself as an integrated subject which centers on the activities by overcoming the conceptual limits inherent in the integration of the individual subjects involved. However, problems such as lack of time for activities for repeatedly instructing and guiding the children in their daily life,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which does not reflect the trends of the times and social changes, insufficient integration of the themes which does not allow a shift from the moral principles inducing the emphasis on the daily life and experiences, lack of detailed activities required for enhancing the self-initiated ability, have still remained unsettled.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과정 편제와 교육과정 체제의 변천
Ⅲ. 교과 특성과 교육목표의 변천
Ⅳ. 교육과정 지도 내용 및 방법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