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Ubiqitous Learning Resource : Focused on Mobile Devi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형성 김영배 박성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6권 1호, 185~21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비쿼터스 학습을 위한 자원개발 방향설정을 위한 연구이다. 유비쿼터스 학습 자원 중 학교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를 중심으로 학습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 800명을 대상으로 유비쿼터스 학습자원 서비스를 위해 모바일 장치를 중심으로 서비스 구성을 위한 문항을 선정하여 문항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식의 차이가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x2(Pearson Chi-Square)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모바일 학습 서비스 설계를 위해서는 첫째, 학습형태는 학습자가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할 수 있도록 직접 가르쳐주는 ‘개인지도형’과 ‘강의형’의 형태로 서비스를 해야 하며, 둘째, 학습지원의 형태는 언제․어디에서나 학생이 모르는 것을 교사에게 직접 통화해서 확인할 수 있는 ‘개인교사형’ 가상공간이나, 게시판에서 문자메시지를 통해 질문에 대하여 답변해 주는 ‘질의응답형’ 위주로 서비스를 진행해야 하며, 셋째, 학습내용 전송방식의 형태는 학습자들이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내용을 실시간 다운받아 사용’ 하거나 혹은 ‘유선인터넷에서 다운받아 휴대폰의 메모리 카드로 이식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편의를 최대한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which development for Ubiqitous learning resource. Research has been made to total 694 students(347 of primary school and 347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prim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in various classes of administrative area including Seoul. The data has been processed by χ² verification method to find any difference between school grade question by question after calculating the percentage and frequency per every question. The result of this survey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one is such various ways of supportive U-learning service as text message, mobile devices and picture taking shall be included for the design of effective U-learning service. The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design of effective U-learning service to include suc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biqitous learning system as conveniency, cooperativeness, handiness, user orientation, exchange ability, fun with maximum reflection of these. The third, for construction of the sustainable U-learning service system satisfactory to the users, the fare for using the contents of this service should be adjusted to the affordable level through the negotiation with mobile devices service providers by office of education in each local autonomy and both the learnable and entertainable elements shall be harmoniously considered to be reflected in the service system from the early stage of initial development of the various contents.
목차
Ⅰ. 서론
Ⅱ. 유비쿼터스 학습 자원의 개발 방향
Ⅲ. 유비쿼터스 학습자원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