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Adaptation between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Unit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유나(Lim, YooNa) 최한올(Choi, HanOl) 이혜정(Lee, HyeJung) 윤완석(Yoon, Wan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2호, 6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원리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단원을 개발함으로써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백워드 설계 모형인 기대하는 학습 결과 확인하기, 다양한 이해의 증거 결정하기, 학습 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 절차에 따라 단원을 개발하였다. 첫째, 조선 후기 역사 단원의 교육과정 내용 기준을 분석하여 단원에 대한 영속적 이해, 6가지 이해의 측면, 핵심 지식, 핵심 기능, 핵심 질문을 개발하였다. 둘째,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3차시 수업의 수행 과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루브릭과 기타 이해 의 증거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흥미롭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WHERETO 모형을 활용한 학습활동을 계획하였다. 이때 맞춤형 수업의 원리로서 이질집단 편성, 학생들의 관심사 및 흥미에 따른 전문가 협력학습 전략, 다중지능 학습 양식에 따른 선택 학습, 이해력 및 쓰기능력과 같은 학습 능력에 따른 전략을 적용하였고, 맞춤형 수업 전략의 적용에 따라 평가 루브릭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서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학생의 다양성을 배려 하는 맞춤형 수업은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이다. 다만, 이와 같은 수업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원 설계시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영속적 이해 요소, 빅 아이디어, 핵심질문 등을 제공하는 지원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evelop History in Society as a su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y adapting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aims to discover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hem. We developed the field unit in a three step procedure; identify desired results, which is a backward design model; determine acceptable evidence; 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 Firstly, enduring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six different aspects of understanding, core knowledge, core skills, and essential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 of curriculums of the history of the late Choseon period. Secondly, performance tasks for the 3rd section lesson were developed using the GRASPS models, and the assessment rubric from it, and evidential documents for others were suggested. Thirdly, a learning activity, using WHERETO models for a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class, was designed. For this, heterogeneous grouping as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Jigsaw model according to student s interests and attention, choice study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s, learning schemes by ability, such as understanding or writing, were applied, and assessment rubric was edited and enhanced with the strateg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As a result, understanding by design, as the educational design model,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which considers student s variabilities, could be applied as a complimentary. However, in order to design this type of class, we need a supportive system that offers enduring understanding factors, big ideas, and essential questions which can be useful during the design of the subject uni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백워드 설계 모형과 맞춤형 수업에 따른 단원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