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성아(Bae, Sung Ah) 성소연(Sung, Soy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3호, 809~8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에 소재 한 4년제 대학교에서 2014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 전 2주 동안 수집한 322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성격강점,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변인에서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측정변인들 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성격강점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자기조절 학습을 경유하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주도학습이 성격강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대학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성격강점을 찾고 활용하여 우수한 결과와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대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 administered a survey to and collected data from 322 student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 weeks before mid-term of fall semester in 2004.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most subcategories of the three variables showed difference among grades. Last, character strength had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a mediat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strength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university plays a role in helping students find and utilize their character strength to improve their grad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