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lementing an ESP program converged with IT, ST, process-oriented writing, and four skills of Englis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성희(Cheong, Sung Hu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3호, 785~80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융합을 통한 시너지를 요구하는 현대사회 특성’을 반영하여 전공 교육과 연계된 영어-콘텐츠 융합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대학교양영어교육을 다양화하고자 고안되었다. 또한 IT 혹은 바이오 영역을 포함하는 자연과학(Natural Science) 및 과학기술(Science Technology, 이하ST)에서 흔히 다루어지는 주제를 다루는 ‘특수목적어로서의 영어’(ESP)와 융합하여 영어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기능을 향상시키는 교수법 제안 연구이다. 커리큘럼개발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한 대학교에 근무하는 4인의 한국인과 1인의 미국인 영어교육 전문가이며, (1) 교수법, (2) e-learning, (3) 언어학, (4) 제 2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 (5) 창의적 글쓰기를 전공 하였다. 각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수자 학습자 입장에서의 적절하고 쉬운 활용인 실용성에 중점을 두고 교수학습 과정 소통을 극대화 시키는 커리큘럼구조화를 통해 상호작용성을 향상시켰다. 본 ESP 융합 커리큘럼에서 제시한 교수법 활용 후 학습자 영어능력 향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후속 연구를 통해 커리큘럼 실효성을 입증하기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terial designs in order to diversify college English education. The rationale and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integrated with IT, Science Technology, process-oriented writing, and four skills of English convergence program (hereafter ESP curriculum) are portray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professors, who have taught at a university in Seoul. Their expertise includes: (1) teaching methodology, (2) e-literacy education, (3) linguistics, (4)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and (5) creative writing. Their specialties were the basic credentials for them to be the participants of designing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purported to converge various fields of study. The norms of developing ESP curriculum were both practicality and interactiveness. The first norm of practicality was considered to reflect an appropriate and easy use from the teachers’ and learners’ viewpoints. At the same time, students and teachers were expect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edagogical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general English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further studies that would prove the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content knowledge presented in this program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IT, ST, 과정중심쓰기 융합 ESP교재 개발 절차와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ESP 커리큘럼을 활용한 수업 제언
Ⅴ. 결론 및 제한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