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Population Education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종열(Yu, JongYo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3호, 759~7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인구교육 내용을 추출ㆍ분석하고, 새롭게 편찬될 사회과 교과서의 집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구교육 내용 선정에서는 환경확대법이, 내용 조직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이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과목 영역에 따라 인구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지리 영역의 과목에서는 공간의 변화, 특히 이주에 주요한 방점을 찍고 있었다. 이에 반해 일반사회 영역의 과목에서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다양한 사회변동 모습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케 하는 자세를 기르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이와 함께 앞으로 새롭게 편찬될 사회교과서에서의 인구 교육 내용을 집필할 때는 관련 학문의 계통성과 학생의 경험적 발달 과정을 고려해야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내용이 적절ㆍ정확ㆍ공정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tended to analysis population education within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iscussed fundamental considerations related to textbook writing. The analysis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vealed that its contents followed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partially according to spiral curriculum. In addition, geography focused on population distribution and movement with spatial concept as its center. General sociology mainly dealt with social problems due to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Lastly, the research suggested that future textbook should consider both academic systemicity and learners’ empirical development when it comes to population education. The future textbook also has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nd its contents should be proper, accurate, and fair.
목차
Ⅰ. 서 론
Ⅱ. 인구교육과 사회과 교육
Ⅲ.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인구교육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Ⅳ. 사회과 교과서에서의 인구교육 내용 집필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