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주(Kim, EunJ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2호, 303~3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성취목표동기, 자기 주도 학습,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성취목표동기와 자기주도 학습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목표동기와 자기주도 학습은 자기효능감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주도 학습과 자기효능감 요인은 셀프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었다. 또한 셀프리더십 요인은 자기효능감 요인보다 자기주도 학습 요인에의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목표동기와 자기주도 학습은 자기효능감 요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셀프리더십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성취목표동기와 자기주도 학습의 간접적인 영향력은 성취목표동기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의 간접효과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5, 2014 to June, 15, 2014. Out of 300 collected data sets, screened 247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and AMOS version 18.0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pat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oal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directly affect on self-leadership,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mediated by self-efficacy has a indirect impact on self-leader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ogram to promote a self-leadership related to students self-transformation and growth.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apacity development program related to self-efficacy.
목차
Ⅰ. 서 론
Ⅱ.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